전체 글(17)
-
[분당제생병원] 신장내과 진단 및 CT촬영 후기
서두 종합 건강검진 후 신장 한쪽이 관찰이 안된다는 결과지를 받아보고 일단 충격을 받았습니다.. 선천적으로 없는걸 수 있다라는 진단과 동생이 레지던트이기 때문입니다. 어찌해야 하나 물어볼 수 있었습니다. CT? 찍기로 마음먹습니다. 일단 예약 https://www.dmc.or.kr/reserve/intro.do 분당제생병원 진료예약 031-779-0000 / 분당구 서현로 180번길 20, 최적의 진료로 신뢰받는 분당 최고의 안심병원. www.dmc.or.kr 예약은 간단합니다. 저는 비회원으로 예약했습니다. 진료과 목록을 쭉 보다 보면 'ㅅ' 몰려있는 곳에서 신장내과를 볼 수 있습니다. 의료진에는 4명 정도가 노출됐습니다. 그중 시간대가 맞는 의사 선생님을 선택하면 됩니다. 예약일에 맞춰 (예약자 우선..
2022.11.04 -
[독립/자취 꿀팁] 모바일 전입신고 & 웹/모바일 확정일자 신청
1. 준비물 임대차계약서, 핸드폰, PC, 수수료 500원(상이할 수 있음/소액 결제 가능한 핸드폰이나 카드 등), 회원가입(공동 인증서 등 필요)과 로그인을 위한 열정 입주 전에 미리미리 준비해두면 좋겠죠? 2. (모바일) 전입신고 요새 다들 동사무소(행정복지센터) 가기 귀찮아서 '정부 24' 앱 까시죠? 요 앱만 있으면 됩니다. 일단 저는 간편 로그인(지문) 등록해서 쓰고 있습니다. 앱에 접속 & 로그인하셨다면 검색창에 '전입신고'를 검색하고 이용해주시면 됩니다. 수수료는 없습니다! 절차가 생각보다 간단하니 임대차계약서에 표기된 내용 그대로 적용하면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완료하시면 문자가 올겁니다. 3. (웹) 확정일자 저는 개인적으로 등기부등본 열람용으로 인터넷 등기소 앱에서 회원 가입한 상태였습니..
2022.10.13 -
[안드로이드] 갑자기 유심인식 안될 때 찐! 꿀! 팁!
먼저 유심이란? 먼저 유심칩이란 가입자 식별 모듈(USIM) 카드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 사용자 인증용 칩으로서 3G 통신 서비스 이용 시 반드시 필요한 부품입니다. 현재 이동통신사들은 고객 편의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유심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일반형/금융형/교통카드형/모바일 결제형/스마트OTP형 총 5가지 형태로 구분됩니다. 1. 금융형 유심칩은 모바일뱅킹·신용카드·증권거래 등 금융업무 처리 기능이 탑재된 유심칩을 말합니다. 2. 교통카드형은 버스나 지하철 요금 지불 용도로 사용되며 모바일 결제형은 신용카드 대신 휴대폰만으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3. 스마트OTP형은 기존 OTP 기기와는 달리 별도의 앱 설치 없이 NFC 기능을 활용하여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2022.10.11 -
[Photoshop] 이미지/직접 타이핑으로 비슷한 폰트 찾기 (Match Font)
Match Font 가끔, 또는 종종,, 이 폰트가 대체 무슨 폰트지? 하는 경우 있으셨나요~? 이럴 때 쓸 수 있는 포토샵의 'Match Font'를 소개합니다! 너무 쉬운 사용 방법 1. Photoshop > 상단 탭 중 'Type' 선택 2. Match Font... 선택 3. 팝업 내 'Match Font' 선택 후 'OK'! 4. 비슷한 폰트 다 보기! 참 쉽죠? 요약 Photoshop > Type > Match Font > Match Font > Match Font > OK
2022.10.05 -
[갤럭시] 와이파이 비번몰라도, 도움없이 QR코드 캡쳐 인식하기
꿀팁 발견 저처럼 데이터 무제한을 차마 못쓰는 짠순이는. 와이파이 비밀번호가 항상 애절하게 필요합니다. 카페든 어디서든 사용 가능한 팁 중의 팁. 바로 알려드리겠습니다. + 혼자서도 가능하다고 이전에 작성했었는데 큐알을 확인할 수는 있어야합니다. 다만, 이미 연결된 회사나 집 등에서 비번을 분실했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꿀팁이라 정정하겠습니다! 와이파이를 프린트해서 붙여놓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겠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자취방에 큐알을 부착하려고 합니다. 우선은 톱니바퀴를 발견하셔야 합니다. 그 이후엔 접속을 원하는 와이파이의 QR코드만 찾으면 됩니다. 캡처든 저장이든 어떤 방식으로든 저장하세요! 캡처를 완료하셨다면 다시 와이파이 목록으로 돌아가서 상단의 큐알 아이콘을 터치해주세요!! 다됐습니다..
2022.07.13 -
[웹/앱디자이너를 위한] PC/태블릿PC/모바일 해상도 기준 잡기
저는 숫자에 약합니다. 외웠던 숫자도 안 쓰면 까먹습니다. 따라서 저도 정리하고 기록할 요량으로 써내려가봅니다. PC는 전체로는 1024px로 주로 작업되는 편이었으나 요즘엔 좀 더 크게도 작업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퍼블리싱할 때 논의 후 결정할 수 있겠지요. 권장 규격 정리! (실무에서는 따로 협의해야 할 이슈가 있을 수 있습니다!) PC - 전체 : 1200*975px (디자인에 따른 협의사항) - 콘텐츠(컨테이너) : 800~1000px 정도로 잡곤 합니다. (협의 필요) 태블릿 - 전체 : 768*1024 (가장 많이 쓰는 규격) - 좌우 여백 : 40 모바일 - 전체 : 320 or 360 (320은 가장 작은 아이폰 미니 사이즈입니다.) - 좌우 여백 : 20
2022.07.13